담양군 천년을 지켜온 돌기둥, 담양 객사리 석당간

  • 등록 2025.07.04 18:10:31
크게보기

보물 제505호, 고려의 숨결을 품은 역사 유산

 

[ 중앙뉴스미디어 ] 담양군 읍내에서 순창 방면으로 향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풍경이 시야에 들어온다. 들판 한가운데 우뚝 솟은 석조 기둥 하나, 천 년을 지켜온 담양 객사리 석당간이다.

 

담양군 담양읍 객사리에 자리한 ‘담양 객사리 석당간(石幢竿)’은 고려시대에 처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1969년 보물 제505호로 지정된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불법(佛法)을 알리는 깃발의 기둥, ‘당간’

 

석당간은 본래 불교 사찰에서 법회나 의식을 알리는 깃발을 걸기 위해 세웠던 기둥이다.

 

특히 이 깃발에는 ‘그릇된 것을 깨고 바른 도리를 드러낸다’는 뜻의 파사현정(破邪顯正)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어 단순한 장식을 넘어 종교적 상징물의 역할을 했다.

 

당간은 주로 목재로 제작됐지만 시간이 흐르며 대부분 소실됐고, 지금까지 남아 있는 철제나 석제 당간은 전국에서도 손에 꼽힌다.

 

특히 담양 객사리 석당간은 국내에 남은 석당간 두 점 중 하나로, 그 희소성과 역사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다.

 

수난과 중건을 거친 천년 유산

 

객사리 석당간은 고려시대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인근의 고려시대 오층석탑(보물 제506호)과 함께 이 지역에 큰 절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현재의 석당간은 조선 헌종 5년(1839년)에 중건된 것으로, 당시 세운 비문에 따르면 이전에도 여러 차례 자연재해와 훼손을 겪고 보수를 거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주(당간을 지탱하는 기둥 받침)의 형식이 고려 양식을 따르고 있어, 중건 이전의 원형도 고려시대의 형태를 따랐음을 보여준다.

 

담양의 지형과 풍수 설화

 

담양 객사리 석당간은 단순한 불교 유물에 그치지 않는다. 담양 지역이 배처럼 생긴 지형이라는 설에 따라, 이 돌기둥을 '배의 돛대'로 삼아 지형의 균형을 잡고 마을의 안녕을 기원했다는 풍수 이야기도 전해진다.

 

이 때문에 지역 주민들은 이 석당간을 ‘종대’ 또는 ‘짐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지역의 정신적 상징물로도 받아들여지는 이유다.

 

섬세하고 정교한 구조와 보존 상태

 

석당간은 섬세하고 정교한 구조를 자랑한다. 연꽃 문양이 새겨진 돌 받침 위에 가늘고 긴 팔각형 돌기둥 세 개가 연결되어 있으며, 쇠띠로 이음 부위를 단단히 고정해 내구성을 높였다.

 

기둥의 꼭대기에는 이중 보륜(寶輪) 장식과 함께 풍경(風磬)이 달려 있어, 바람이 불면 은은한 소리를 낸다.

 

그 위에는 뾰족한 철침이 솟아 있는데, 이는 당시 피뢰 기능까지 고려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섬세한 부속물이 지금까지 온전하게 남아 있는 사례는 전국적으로도 드물다.

 

담양의 역사와 함께 숨 쉬는 장소

 

객사리 석당간은 담양읍에서 순창 방향으로 이어지는 도로변, 넓은 들판 한가운데에 자리해 누구나 쉽게 찾아갈 수 있다.

 

이곳을 찾는 방문객들은 단순히 유물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고려의 숨결과 지역의 정신을 함께 느낄 수 있다.

 

담양군 관계자는 “객사리 석당간은 담양의 오랜 역사와 지역 정체성을 함께 담고 있는 상징적 유산”이라며 “앞으로도 체계적인 보존과 활용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이 유산의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뉴스출처 : 전라남도 담양군]

고광표 기자 janmedia@naver.com
저작권자 ©중앙뉴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로 40번길 20, 402호 / 대표전화: 031-871-0113 | 제보 및 문의: 010-2382-0112 제호 : 중앙뉴스미디어 | 등록번호 : 경기 아 51849 | 등록일 : 2018-04-30 | 발행일 : 2018-04-30 | 발행인 : 이미예 | 편집인 : 고광표 | 청소년보호담당자 : 이미예 중앙뉴스미디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8 중앙뉴스미디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janmedia@naver.com